목록보안 (291)

trainer-3은 따로 올려두진 않겠음 그냥 채팅 관련 내용임 4부터 정리하겠음 이번엔 리눅스 디렉터리 구조가 나옴 -bin : 가장 필수적인 리눅스 실행 파일들이 들어가 있음 ls, rm 모두 여기 들어감 -boot : 리눅스 부팅 관련 파일과 커널이 들어가 있음 -dev : 하드웨어에 관한 정보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됨 -etc : 패스워드 파일, 쉐도우 파일. 리눅스 설정 파일 등 -home :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터리가 들어가는 곳 -lib :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감 -mnt : mount 관련 디렉터리 -proc : 프로세스들이 파일 형태로 저장되는 곳 -root : 일반 사용자 디렉터리는 /home 아래 존재하지만 root 홈 디렉터리는 따로 이곳에 저장됨 -sbin : 시스템 관리용 실행..

기본적인 내용이라 그냥 텍스트로 적겠음 $pwd 현재 경로 출력 $cd ../ cd가 이동임 ../는 한 단계 위 디렉터리를 뜻함 $cd /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$mkdir [파일이름] 파일 및 디렉터리 만듦 $rm -r [이름] 파일 및 디렉터리 제거 $cp [복사 원본][복사 사본] 복사도 가능함 $mv [파일 이름][경로] 파일 이동도 가능함 mv로 파일 이름도 변경이 가능함 [경로] 대신 변경할 이름 적으세요 너무 많음....

티스토리 첫 글 임 옛날에 공부했던 거 다시 복습할 겸 정리해보겠음 먼저 putty로 원격 접속을 해야 함 한글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음 Translation 항목의 Remote character set을 Use font encondig으로 바꿔준다. 그 후 change를 눌러서 한글로 바꾸고 실행 들어가면 login , password 치는데 둘 다 level 1 입력하면 됨 아주 기본적인 내용부터 나옴 너무 기본적이라 캡처한 사진으로만 올리겠음 $ls -al 로 합쳐서 쓸 수도 있음 공부한 내용이 너무 많아서 언제 다 써야 될지 감이 안 잡힘..... 열심히 적어보겠음